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석증 치료법 이석증 자가치료

by 항상건강하자 2023. 1. 21.
반응형

오늘은 이석증 치료법과 이석증 자가치료에 관한 생활건강정보를 정리하겠습니다. 이석증이라는 건 귀 안에는 인간이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진화된 신체의 한 부분인 귀 안의 돌이 있습니다. 이런 돌이 중력과 인체의 균형을 잡는데요. 균형이 불균형하게 됐을 때 이석증이라는 질환이 발병됩니다. 이런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이석증 치료법과 이석증 자가치료법 정리

이석증 치료에 알맞는 귀
이석증은 귀에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그렇기에 귀 사진을 올립니다.


이석증 치료법

어지럼증이 있을 때는 가장 먼저 이비인후과를 찾아야 합니다. 만성 어지럼증의 가장 큰 원인 질환이 이석증이기 때문입니다. 어지럼증 환자의 30~40%는 이석증을 갖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석증은 귀속 전정기관에 평형감각을 유지해주는 칼슘 입자(이석)가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 속 액체 위로 흘러 다니는 질환입니다. 이 이석이 신경을 자극해 머리를 움직일 때마다 어지럼증이 생기고 빙글빙글 도는 듯한 현기증이 나게 됩니다.

 

보통 이석증으로 인한 어지럼증은 갑자기 발생하며 1분 이내로 짧습니다. 심할 땐 구역, 구토, 가슴 두근거림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다가 일어나거나 돌아누울 때 어지럼증이 심하면 이석증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석증 확진을 위해서는 비디오 안진 검사, 온도 안진 검사 등 정밀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비디오 안진 검사는 특수 안경을 낀 채로 머리와 몸을 움직이면서 안구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안구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안진이 있다면 이석증으로 진단합니다. 이석의 이동 위치 파악도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이석증은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수주 내에 호전되지만 증상이 심하면 약물요법 또는 이석치환술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석치환술은 머리를 돌려가며 이석을 원래 자리로 이동시키는 치료법으로 효과가 우수한 편입니다.

이석이 완전히 자리 잡을 때까지 머리나 몸을 가급적 움직이지 않아야 합니다. 대신 이석증은 치료를 하셔도 재발이 잘되는 질환이므로 치료 후 정기적으로 이비인후과를 찾아 점검 및 관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석증 외 메니에르병이나 전정신경염과도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대표적 이비인후과 질환입니다. 메니에르병은 귓속 달팽이관 안에 있는 림프액의 생성과 흡수 과정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림프액이 많아져 귀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어지럼증이 발현합니다. 방치하면 이명, 청력 손상이 커지므로 약물치료, 내림프낭 갑압술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전정신경염은 평형감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전정신경에 발생한 염증으로, 뇌로 가는 신호가 갑자기 단절됨에 따라 심한 어지럼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전정청각신경에 문제를 일으켜 청력 이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재활치료를 적극적으로 해줘야 합니다.

이석증 자가치료

이석증이란 양쪽 귀 안 쪽 전정기관 벽에 붙어있는 이석이 특정한 요인으로 인해 제 위치에서 떨어져 나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석이 반고리관 내로 들어간 후 그 안에서 떠다니면서 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며 눕거나 머리 위치를 변경할 때 세상이 핑 도는 것 같은 회전성 어지럼증을 주로 느끼게 됩니다. 이런 질병을 자가치료할 수 없습니다.

 

이석증으로 인한 어지럼증은 며칠 일 내 자연적으로 호전 되는 경우도 있지만 방치하다가 1-2달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어 바람직한 선택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석증이 심해질 경우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호전 된 듯 하다가도 다시 증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간혹 어지럼증 등 증상이 심하지 않아 집에서 자가치료로 이석증을 극복해 보려는 이들도 있지만 자칫 잘못할 경우 회전성 어지럼증 증상이 더욱 심해져 낙상 등의 사고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되도록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이비인후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이석증에 관련된 치료법과 자가치료 문제점을 알아봤습니다. 이석증이 의심된다면 병원에 빨리 진료받으셔야 합니다. 질병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화가 되는 것이 문제입니다. 병을 키우지 마시고 쉽게 치료할 수 있을 수 있는 시간을 꼭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